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장고
- VUE
- Django
- 안드로이드
- vue.js
- vue-router
- 성능 최적화
- jest
- 예외처리
- 자바스크립트 #javascript #렌더링 #렌더링순서
- 로컬스토리지
- 뷰
- Transition
- Router
- virtual dom
- 세션
- css
- DOM
- 라우터
- vue #vue.js #font #web-font
- 주니어 개발자
- cubic-bezier
- webpack
- 프론트엔드
- lazy loading
- 렌더링 최적화
- NavigationDuplicated
- 세션스토리지
- frontend
- vuetify
- Today
- Total
한준호
[Modern javascript] 스코프 본문
■스코프
- 모든 식별자(변수 이름, 함수 이름, 클래스 이름 등)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.
-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
스코프 개념이 없다면 같은 이름을 갖는 변수는 충돌을 일으키므로 프로그램 전채에서 하나밖에 사용할 수 없다.
■스코프 종류
구분 | 설명 | 스코프 | 변수 |
전역 |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 | 전역 스코프 | 전역 변수 |
지역 | 함수 몸체 내부 | 지역 스코프 | 지역 변수 |
전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 스코프를 갖는 전역 변수 => 어디서든지 참조할 수 있다.
지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 지역 변수 =>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하다.
■스코프 체인
중첩 함수 : 함수 몸체 내부에서 정의한 함수
외부 함수 :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
=> 스코프는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다. (스코프 체인)
◎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. 이를 통해 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.
◎ 상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는 하위 스코프에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지만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상위 스코프에서 참조할 수 없다.
- 스코프 체인은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한다. 위 그림과 유사한 자료구조인 렉시컬 환경을 실제로 생성한다.
- 변수 선언이 실행되면 변수 식별자가 이 렉시컬 환경에 키로 등록되고, 변수 할당이 일어나면 이 자료구조의 변수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을 변경한다.
■함수 레벨 스코프
- 블록 레벨 스코프 : 함수 몸체만이 아니라 모든 코드 블록(if, while, for, try/catch 등)이 지역 스코프를 만듦 -> java, C
- 함수 레벨 스코프 :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 -> javascript
var x = 1;
if (true) {
//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의 코드 블록(함수 몸체)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.
// 함수 밖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되었다 할지라도 모두 전역 변수다.
// 따라서 x는 전역 변수다.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x가 있으므로 x 변수는 중복 선언된다.
// 이는 의도치 않게 변수 값이 변경되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.
var x = 10;
}
console.log(x); // 10
x는 전역 변수로 생성되었고 if문 코드 블록에서 재할당된다. 함수 레벨 스코프 때문에 x는 전역 변수로 재할당 된다.
var x = "global";
function foo() {
var x = "local";
console.log(x);
var x = "pride";
console.log(x);
}
foo();
console.log(x);
x는 전역 변수로 생성되었고 foo함수에서 지역변수로 생성되므로 함수 레벨 스코프에 의해 전역 x는 바뀌지 않는다.
함수 레벨 스코프에 의해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.
var i = 10;
// for 문에서 선언한 i는 전역 변수다.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i가 있으므로 중복 선언된다.
for (var i = 0; i < 5; i++) {
console.log(i); // 0 1 2 3 4
}
// 의도치 않게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다.
console.log(i); // 5
■렉시컬 스코프
다음 예제의 실행 결과를 예측해보자
var x = 1;
function foo() {
var x = 10;
bar();
}
function bar() {
console.log(x);
}
foo(); // ?
bar(); // ?
1.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
- 동적 스코프
2.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.
- 렉시컬 스코프(정적 스코프)
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 를 따른다.
즉, 함수가 호출된 위치는 상위 스코프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.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이다.
'Frontend > modern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odern javascript] let,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(0) | 2021.08.19 |
---|---|
[Modern javascript] 전역 변수의 문제점 (0) | 2021.08.15 |
[Modern javascript]함수 (0) | 2021.08.12 |
[Modern javascript]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(0) | 2021.08.09 |
[Modern javascript]객체 리터럴 (0) | 2021.08.09 |